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209) GITHUB 방명록
[빌드] ./gradlew: /bin/sh^m: bad interpreter: no such file or directory 오류 발생 그리고 해결 개발/Programming / 2022. 9. 2. 안녕하세요😎 백엔드 개발자 제임스입니다 :) 오늘은 제가 프로젝트를 진행하던 도중 겪었던 에러와 이를 어떻게 해결 해결했는지 공유하도록 하겠습니다. 상황은 AWS EC2의 인스턴스를 통해서 jar 서버를 배포하려던 중이었습니다. 우리 팀은 gradlew를 통해 build 하여 jar파일을 만들려고 했습니다. 하지만 ubuntu [Linux] 환경인 인스턴스에서 gradlew 파일을 찾지 못한다는 에러를 접하게 되었습니다. 전에 실습할 때는 겪어보지 못했던 문제여서 당황했습니다. 문제 ./gradlew: /bin/sh^m: bad interpreter: no such file or directory 원인 분석 해당 문제는 운영체제 Linux에서 스크립트를 실행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에러입니다. 자세하게는 ..
[Project] 지금은 팀 프로젝트 진행 중, 이상 유!!!!🆘 글쓰기/회고 / 2022. 8. 31. 1. 코드스테이츠 교육 과정을 마치고 (22.05.01 ~ 08.18) 22년 8월 18일부로, 코드스테이츠의 교육 과정을 마치게 되었다. 여기서 마쳤다는 교육 과정은 project 과정을 제외한 '백엔드 개발자를 위한' 학습 과정이다. 약 4개월 간, 백엔드 개발자 로드맵을 4개의 Section 별로 나누어 학습을 진행했다. 이 중, Section 4는 [스프링 시큐리티, 클라우드 배포, Spring webflux] 를 다루는 내용으로 가장 기대한 부분이었다. 즉, Section 4 내용을 학습하는 것이 코드스테이츠 교육 과정을 이수하는 이유 중 하나였다. 덕분에 Section1부터 3까지 복습도 했으며, 새로운 기술들을 익힐 수 있었다. 1) 4개월 동안 경험한 학습 내용 사실 4개월 동안, '백엔드..
[보안/인증] CSRF 로 인해서, 403에러가 발생했을 때 개발/Spring&JPA / 2022. 8. 20. 안녕하세요😎 백엔드 개발자 제임스입니다 :) 오늘 포스팅은 제가 겪었던 에러와 이를 어떻게 해결했는지 공유하려고 합니다. 에러의 원인은 CSRF로 인한 이유였습니다. API 서비스 개발 후 테스트를 진행하던 도중 발생했는데요. 브라우저에 URL을 입력하여, 뷰 테스트를 진행했을 때는 에러가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반면, Test파일에서 기능 테스트를 진행하면, 403 에러가 발생했습니다. 위 그림을 보다시피, Status가 3XX(Redirection)이 나와야 하는데 403(Forbidden)이 나온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Status 200(OK)을 기대했는데 에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원인 분명 브라우저에서 URL을 통해 Request를 보내면 제대로 수행되는데요. 왜 IDE에서 테스트를..
[MySQL] MySQL CLI로 쉽게 다루기(+ MySQL Shell 명령어 정리) 개발/DB&SQL / 2022. 8. 13. 안녕하세요😎 백엔드 개발자 제임스입니다 :) SQL 기반의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중 대표적으로 MySQL이 있습니다. 이러한 MySQL 데이터베이스를 다루기 위해선 다양한 방법이 있는데요. 그 중 CLI 환경과 GUI 환경을 기준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오늘 포스팅은 CLI 환경에서 MySQL을 다루는 방법에 대해서 정리할 것입니다. CLI는 Command-line interface의 약자입니다. 즉, 명령어 기반 환경인데요. 주로 터미널, shell 을 통해서 다룰 수 있습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MySQL Shell에서 사용되는 명령어를 정리하려고 합니다. 추가로 GUI로는 보통 MySQL Workbench를 사용합니다. MySQL Shell 설치는 아래 링크에서 할 수 있습니다. https://www..
[백준] 깊이 우선 탐색_24479,24480_자바 개발/DS&Algorithms / 2022. 8. 11. 안녕하세요😎 백엔드 개발자 제임스입니다 :) 오늘은 [깊이 우선 탐색] 이라는 문제를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그래프와 관련된 문제를 해결할 때, 두 가지의 해결법이 있습니다. 첫 번째는 깊이 우선 탐색(Depth-First Search)이고, 두 번째는 너비 우선 탐색(Breadth-First Search)입니다. 이번 문제는 깊이 우선 탐색의 개념을 이해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습니다. 24479번 깊이 우선 탐색1 문제는 오름차순으로 인접 정점에 방문하는 방식이고, 24480번 깊이 우선 탐색2 문제는 내림차순으로 인접 정점에 방문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두 문제를 풀이하는 방법은 크게 차이가 없습니다. 24479번 문제의 자세한 점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https://www.acmicpc.net/..
[백준] 포도주 시식_2156_자바 개발/DS&Algorithms / 2022. 8. 10. 안녕하세요😎 백엔드 개발자 제임스입니다 :) 오늘 포스팅은 백준의 2156번 포도주 시식 문제를 정리하려고 합니다. 이 문제는 동적 계획법에 해당하는 문제로, 동적 계획법 풀이 전략을 이해하고 있으면 어렵지 않게 풀 수 있습니다. 반대로 말하면, 동적 계획법의 개념을 제대로 알 수 있는 문제라 할 수 있겠습니다. 저 또한 해당 문제를 풀면서 동적 계획법에 대해서 다시 이해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문제의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https://www.acmicpc.net/problem/2156 2156번: 포도주 시식 효주는 포도주 시식회에 갔다. 그 곳에 갔더니, 테이블 위에 다양한 포도주가 들어있는 포도주 잔이 일렬로 놓여 있었다. 효주는 포도주 시식을 하려고 하는데, 여기에는 다음과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