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자 (Constructor)
· 객체를 생성할 때 new 키워드와 함께 사용 - new Student();
· 생성자는 일반 함수처럼 기능을 호출하는 것이 아니고 객체를 생성하기 위해 new와 함께 호출
· 객체가 생성될 때 변수나 상수를 초기화하거나 다른 초기화 기능을 수행하는 메서드를 호출
· 생성자는 반환 값이 없고, 클래스의 이름과 동일
· 대부분의 생성자는 외부에서 접근 가능하지만, 필요에 의해 private으로 선언되는 경우도 있음
지역 변수와 멤버 변수의 차이
* 지역 변수는 초기화가 자동으로 안되기 때문에 직접 해줘야 한다.
* 멤버 변수는 자동으로 값이 초기화
ex. 아래 코드로 보는 지역 변수와 멤버 변수의 차이
// 멤버 변수
public int studentNumber;
public String studentName;
public int grade;
public String showStudentInfo() {
int i; // 초기화를 하지 않은 지역 변수
return studentName + "의 학번은 " + studentNumber + " 이고, " + grade + "학년 입니다." + i;
// 초기화 되지 않은 지역 변수 i로 인해 오류 발생
}
기본 생성자(Default constructor)
· 클래스에는 반드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생성자가 존재
· 클래스에 생성자를 구현하지 않아도 new 키워드와 함께 생성자를 호출할 수 있음
· 클래스에 생성자가 하나도 없는 경우 컴파일러가 생성자 코드를 넣어 줌
· 매개 변수가 없음, 구현부가 없음
default 생성자 호출
Student studentLee = new Student();
타입 클래스에 생성자를 이미 생성했지만 default 생성자를 호출하기 위해선
public Student() {
}
타입 클래스에 위와 같이 default 생성자 또한 필요한 경우 직접 만들어 줄 수 있다.
생성자 만들기
컴파일러가 제공해 주는 기본 생성자 외에 필요에 의해 생성자를 직접 구현할 수 있음
// 넘어 오는 정보(파라미터)로 객체를 초기화
public Student(int studentNumber, String studentName, int grade) {
this.studentNumber = studentNumber;
this.studentName = studentName;
this.grade = grade;
}
선언
Student studentKim = new Student(1234, "Kim", 3);
이렇게 정보에 관한 파라미터를 넣어 준 생성자는 위 처럼 선언을 하면 된다.
'개발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참조 자료형 변수 (2) | 2021.04.20 |
---|---|
생성자 오버로딩 (overloading) (2) | 2021.04.19 |
인스턴스 생성과 힙 메모리 (0) | 2021.04.19 |
함수와 메서드 (0) | 2021.04.19 |
객체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2) | 2021.04.19 |